달이샘의 역사나들이(답사)

화성 가평간씨 흥천마을

달이선생 2024. 12. 17. 18:22

삼괴(三槐) 지역은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과 장안면을 아우르는 지명이다. 삼괴는 삼귀, 상귀 또는 쌍부(雙阜)로도 불렸는데, 쌍부는 지역의 쌍부산(쌍봉산)에서 유래한 고려의 속현 쌍부현에서 이어진 오랜 이름이다. 이 쌍부현에 앞서서는 한성 백제의 육포(六浦)가 기원이다.

오랜 역사를 가진 삼괴 지역은 다양한 사람들이 살아간다. 최근에는 동탄 지역 등에서 옮겨온 많은 군소공장이 입지하여 세계 여러 나라에서 여러 사람들이 와서 살기도 한다.

이렇게 기록을 남기는 것은 삼괴 지역의 오랜 성씨로 우리 나라 성씨 중에서도 희귀성씨에 속하지만 삼괴 지역에서 오랜 세월 동족촌(집성촌)을 이루어 사는 사람들이기에 다른 성씨 문중도 많지만 특별히 기록을 남긴다.

우정읍을 차지하고라도 장안면에 독정리 한천마을과 어은리 수성최씨, 장안리 경주와 안동김씨, 덕다리 금녕김씨, 노진리 남평문씨(지역출신 최초 여성 국회의원 문정복 배출), 석포리 세조 대 적개공신 차운혁의 후손들로 1919년 삼괴4.3항쟁의 주역 차희식(주곡리 처가 전주이씨 구슬마을에서 살다 일본순사 가와바타 처단에 앞장. 이 마을 출신이 독도박물관 사운 이종학) , 차병한(석포리 구장으로 주민을 이끔), 차병혁(현 송옥주 국회의원 외조부로 여산송씨가 멱우리 송만영의 마름으로 9칸이 넘는 행랑을 보유할 정도로 거부)을 배출한 버들차씨로 불린 연안차씨 등 많은 성씨 집성(동족)촌이 있다.

 

흥천산(興天, 흥천산 봉수, 봉화산) 아래 흥천 마을로 불린 화성시 장안면 사곡 3리는 삼괴 지역에서 400년을 세거한 가평간씨(加平簡氏)의 집성촌이다. 2014년 조사에서 39가구 중 11가구(2014 뉴다이알 우정·장안 상가·임명부)가 간씨이고 2024년 현재 8가구가 세거하고 있다.(대종회장 간호민[1934년생] 구술)

가평간씨는 고려 현종 대 간영언을 시조로 하여 의종 대 간균을 중시조로 한다. 특히 삼괴 지역에 세거하는 간씨는 충렬왕 대 간홍을 파조(입향조)로 하여 병사공파 또는 화성파라고 이른다. 조선시대 간씨 무과 등과자 12명 중 대다수를 차지하며 현재도 간씨 문중 대종회를 이끄는 중심파로 역할을 하고 있다.

 

 

마을 남쪽 불로산(산96-1번지)에는 가평간씨 문중 선산이 위치한다. 중시조 간균(고려 의종)과 가평군 간석보(조선)의 제단비를 세웠는데 이는 실제 선산에 묘가 있는 간유경의 윗 조상들의 묘가 실전된 상황에서 이들에 대한 추모 제단이다. 묘가 실전된 조상들과 달리 간유경 이하로 장자 세영, 원장, 이항 등 후손들이 차례로 모셔져 있는데 최근에 묘역을 정비 한 것이다. 그리고 무과로 관록이 꾸준히 이어진 무반가문이나 종산이나 마을 어디에도 오래된 묘제석물 하나 안 보인다. 당대 관직자가 석물 갖춤이 그만큼 경제력으로도 쉽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은 물론 조선은 역시 문반의 나라이기에 문과 등과 문반신료를 배출하지 못한 이유도 클 것이다.

사곡3리 회관(경로) 서측 구릉으로 간씨 가문 마지막 무과 등과자인 간덕일(쌍분 비 안동 권씨, 19세)과 부친 간사검, 어머니 해풍김씨 합장묘가 있다. 간덕일 부자가 종산에서 떨어져 나와 묘를 쓴 것은 아버지 간사검이 간이항의 차자이기 때문이다. 무덤은 최근에 갖춘(1995) 묘제석물로 비석, 망주석 한쌍, 상석, 향로석이 각각 위치한다. 간덕일의 무과 「숭정3갑인춘알성문무용호방목」과 『일성록』을 살펴보면

간덕일은 갑신생(영조40, 1764)으로 정조 18년(1794)년 갑인 알성시 병과 7위(11/31)로 등과하였다. 처음 관직은 52세에 이르러 순조 15년(1815)에 종 6품 오위 부장(五衛部將)에 나간 것이 확인된다.(일성록 도목정사[일종의 인사평정 및 발령]) 특기할 것은 어머니가 해풍 김씨인데 간덕일에 이르기까지 무반직위와 등과를 함에 따라 무반가로 입지가 올라서며 지역의 무반 명가였던 해풍김씨와의 혼맥을 이룬 것이다. 삼괴지역 무반 명문가 해풍김씨는 남양쌍부파로 선조 대 여진 섬멸의 명장 우후 김우추, 화성건설 감동 김후, 순조 대 포도대장 김영 장군, 고종 대 시종원 시어(선전관)를 지내고 낙향하여 1919년 3.1운동 때 삼괴의 4.3항쟁의 주모자로 일제헌병에게 살해당한 김연방을 배출한 가문이다. 무반으로 명성이 있어 충무공(이순신)가와 혼맥을 이룰 정도로 무반 명문가이다. 흥천산 북쪽 우정읍 화산 5리 일원동이 해풍김씨 남양쌍부파의 종가이다. 간씨 집성촌과는 지척이다.

https://blog.naver.com/leelove97?Redirect=Log&logNo=223673488470&from=postView&trackingCode=blog_bloghome_searchlist

 

화성 애국지사 김연방 선생 유허지

화성3.1운동 만세길 답사 김연방 애국지사 유허지 순절지사 김연방은 1881년 7월 21일 수원부 압정면 일원...

blog.naver.com

입향조 간홍으로부터 조선시대 가평군 간석보 이후 순조 대 간덕일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무과 등과한 무반가를 이룬 가평간씨 화성파는 간덕일의 5대손 간용태(1936, 공도읍 진사리 출신)가 해군중장을 역임하면서 무반 가문의 전통을 이었다.

순연한 농촌 마을이지만 불과 50여 년 전만 해도 마을 동쪽 벌은 독정개에 속한 갯고랑이었다. 바닷물이 드나들던 너를 간사지로 흥천마을이 속한 사곡리는 사곡에서 알 수 있는 모래 사에 마을 골, 곡으로 하여 가는 모래벌이 펼쳐진 곳이라는 뜻이다. 그중 자연마을 흥천은 조선시대 서해안 연변로에 위치한 직봉 5거의 흥천산 봉수가 위치한 마을이라 ‘흥천’이라고 하였다.

이 흥천산을 중심으로 안쪽(동)은 장안지역이고 바깥쪽(서)은 우정지역으로 나뉜다. 마을 안 작은 길이 장자터 봉화마을 현 봉화교회로 이어지는 옛길이다. 이화리(남양방조제 방향)로 이어지는 도로에서 두레마을(현 두레자연중고교)로 새로이 고가도로로 넘어 난 마을 길은 최근 놓인 길이다.

마을 중심에는 지금은 메꿔진 큰 우물이라고 불린 대동우물이 자리한다. 곁에는 오래된 향나무가 있었는데 집주인 간씨가 부인이 몰래 팔고 나갔다고 한다. 정자목으로 자란 수려한 향나무가 옮겨진 곳에서도 수억을 줘도 모자란 좋은 나무라고 했다고 전한다.

 

https://blog.naver.com/leelove97/222783723193?trackingCode=blog_bloghome_searchlist

 

흥천산 봉수 이야기

경기만 문화유산 흥천산봉수(興天山烽燧) 우정읍 화산리 활빈교회 두레자연중학교가 위치한 뒷동산은 봉화...

blog.naver.com

 

문하시중평장사

가평간공휘균제단비

증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

우의정가평군간공제단비

왼쪽묘 가평간공유경(1567년생)

오른쪽묘 어모장군 행용양위부사과 가평간공세영(1587~1657) 비숙부인장성유씨지묘

절충장군첨지중추부사 가평간공유경 비숙부인청주정씨 비숙부인합천이씨지묘

제 준경

자 세형 세영 세흥 세웅

자 원장

갑자정시문무방목 (숙종10, 1684년 간원성 부 간세영 형 간원장) 간원성은 자는 복이이고 1658년 무술생(효종9)이며 27세에 109명 중 병과 71위 합격하였고 수원에 거주하였다. 수원이니 이곳 화성시 장안면 사곡리 흥천마을이다. 전력이 업무로 나와 서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업무가 무술을 일삼다라는 한자 뜻이 있으나 무반 서자를 뜻하는 한자이기도 하다. 부는 어모장군 행용양위부사과 안항으로 형 간원장과 동생 간원령이 기록되어있다.(규장각한국학연구원)

절충장군첨지중추부사 가평간공원장 비숙부인목천돈씨지묘

선략장군행수문장 가평간공이항 비숙부인청주한씨 비숙인평택임씨지묘

간이항에 대한 기록은 승정원일기 영조 1년(1725) 병조에서 관직으로 수문장(종6품)을 제수받는다. 그러나 영조2년 선인문에서 충자위 이지화의 격쟁을 막지 못하여 추고되었다.

정해문무별시방목(숙종33, 1707년 간이항) 간이항은 자는 항숙이고 23세인 1685년 을축생(숙종11)이다. 정해별시 219명 중 병과 39위에 무과 급제하였다. 수원 거주이니 이곳 흥천이고 전력은 부사과 구경하로 부모 원장과 목천 돈씨 모두 생전이다. 아버지가 급제로 나와 무과 등과자임을 알 수 있다. 출처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간이항에 대한 기록은 승정원일기 영조 1년(1725) 병조에서 관직으로 수문장(종6품)을 제수받는다. 그러나 영조2년 선인문에서 충자위 이지화의 격쟁을 막지 못하여 추고되었다. 추고는 처벌의 예비 단계로 수사에 착수하는 것을 말한다.

왼쪽묘 통덕랑 가평간공사양 비공인전주이씨지묘

오른쪽묘 통덕랑 가평간공덕수 비공인창원황씨지묘

왼쪽묘 가평간공휘재문 비유인행주기씨 비유인달성서씨지묘

오른쪽묘 가평간공서운처사휘형진 비유인음성박씨지묘

 

흥천마을 큰 우물과 정자목 향나무가 있던 자리

절충장군첨지중추부사 가평간공사검휘지묘 숙부인해풍김씨합부

 

가평간공사검묘갈명

공의 휘는 사검 관은 가평 원조는 고려 의종조의 휘균 호는 문산 관은 시중평장사 시호 상절

수세를 전하여 휘 유공은 충렬왕조 중랑장으로 거란을 퇴치한 공이 있으며 그후 수세를 전

하여 휘 호 금헌 공은 공민왕조 만주일대에서 일어난 홍건적이 국경을 침입함에 압록강 월

변으로 격퇴시키고 개선하여 사도병사를 겸직하셨으며 이후 수원에 이거하여 세칭 병사공

라한다 수세후 휘 세정 호 송은공은 공민왕 17년 등과 진사 관 한림부교로 여조가다하도

록 문무가 훤혁하니 이분들이 공의 원조이시다 의가 이조에 입사함이 불가여기시다가 근백

년이 지나서야 입사하셨다 휘 석보 가평군 증대광보국숭록대부우의정 휘 극후 한성주부 휘

유의 예빈시주부 휘 승손 어모장군 휘 희정 중종조 통정대부 행삼수부사 휘 치종(동생 사종) 명종조 통정

대부 휘 유경 절충장군 첨지중추부사 휘 세영 인조조 어모장군 행용양위부사과공께서는 인

조병무에 유탁의 모반을 토벌하신 공으로 녕국원종공신을 수하시니 그 녹권이 가장되어 있

으며 휘 원장 절충장군 첨지중추부사 휘 이항 숙종조 선략장군으로써 영조조 이인좌난에 유

공하시어 분무공신이 되시니 그 녹권이 가장되어 있으며 공께서 생2남하시니 장은 휘 사양

통덕랑이시고 차는 사검이시니 바로 공이시다 공은 절충장군 첨지중추부사로 영명을 떨치

셨으며 비해풍김씨이시다 생일남하시니 자자손손번영함이 근심엽무라 후손중 6대손 용

태 7대손 만균 외손 전주인 이찬승 등이 성의를 모아 이 비를 근립하나이다

단기 4328년(1995) 2월 19일

 

절충장군행삭주부사겸삭주진관천마진병마동첨절제사 가평간공휘덕일지묘 숙부인안동권씨쌍분

 

절충장군행삭주부사겸삭주진관천마진병마동첨절제사 가평간공휘덕일지묘 숙부인안동권씨쌍분

가평간공덕일묘갈명

공의 휘는 덕일 곤은 가평 원조는……(중략 위와 동일) 휘 사검 절충장군첨지중추부사이

이시니 공의 고이시다 공은 절충장군삭주부사겸 삭주진관병마절제사로 영명을 떨치셨으며

배위는 안동권씨이시다 자손대대로 번성함은 선덕의 은공이 아닐 수 없으며 후손중 5대손

용태는 해군중장으로 선조의 의를 이었으며 5대손 용원 등의 노고로 이 비를 세웁니다

단기 4328년 을해 2월 19일

대종손 흥천처사 불초손 호민 재배근식

 

숭정3갑인춘알성문무용호방목 간덕일(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갑신생 1764년(영조40)

전력이 친군위로 무과등과 31세 때인 정조 18년(1794) 갑인 알성시 병과 7위(11/31) 거주 수원

숭정3갑인춘알성문무용호방목(규장각한국학연구원)

 

초사로 52때 오위 부장(部將 종6품) / 도목정사(일종의 인사평정) 일성록 순조 15년 을해(1815) 7월 10일(계사)

 

 

 

대종회 사무실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기아자동차로 848-29 1층 흥천종묘농약사

http://www.xn--o39ai224q7ln.com/index.html

 

메인페이지입니다.

자랑스런 우리가문 가평간씨 대종회

www.xn--o39ai224q7ln.com

 

 

 

 

 

 

 

 

 

'달이샘의 역사나들이(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곡서원  (0) 2025.01.16
조광조 선생 묘 및 신도비  (1) 2025.01.14
화성 만추  (2) 2024.11.24
정동 나들이(덕수궁 돌담길 등)  (1) 2024.11.07
고구려의 하늘을 열다 졸본(환인)  (0) 2024.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