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이샘의 역사나들이(답사)

연성촌사.. 박동량

달이선생 2019. 1. 24. 14:02

연성촌사(蓮城村舍)

  연성촌사는 조선 선조대 중신 박동량(朴東亮,1569~1635)의 손자인 박세채(朴世采, 1631~1695)가 남긴 시에서 시흥시 군자동 가능골과 비앞골을 이르는 말이다.

   박세채는 시흥시의 가래울마을에 연고가 있는 양명학자 정제두(鄭齊斗)의 스승으로 이 마을 동쪽으로 가깝게 가래울이 위치한다. 그리고 박세채는 당대 소론의 영수였다. 노소분당과 갈등이 첨예하였으나 그는 노론의 영수 송시열의 손자인 송순석을 사위로 맞았을 정도로 평소 당론에 엄격하기보다는 자신의 신념을 지키고, 노소의 균형을 이루었다.

   이러한 박세채 선생이 종손이자 사촌형인 박세교(朴世橋, 16111663)가 있는 가능골과 비앞골의 연성촌사를 찾아서 시를 남겼다. 박세교는 금양위(禁陽尉) 박미(朴瀰)와 정안옹주(貞安翁主, 선조의 다섯째 딸)의 아들이다.

 

종형의 연성촌사에 도착하여 짓다(到從兄蓮城丙舍作)
해마다 아프다고 말하지 마시길, 不謂頻年痛
거연히 한바탕 꿈처럼 헛된 것을, 居然一夢空
포의면 매양 근심하더라도, 素冠戚戚
황양이면 갑자기 바쁘실테니, 黃壤遽悤悤
산색은 저 멀리 아스라하고, 山色微茫外
사람이며 안개는 적막하네, 人煙寂寞中
오직 무성한 작약이 있어, 唯餘紅藥在
눈물에 길이 새 꽃이 자랄 것을 和淚長新叢)
-시흥시사편찬위원회, 2007시흥의 전통시대,시흥시사2, 331-332

 

   연성촌사는 연성에 있는 촌의 집이라는 뜻이다. 연성(蓮城)은 당시 이 부근의 지명을 이르는 대표명칭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연성의 유래를 두고 많은 이야기가 전하는데, 특히 시흥시 하중동 직곶에 있던 관곡지(官谷池)와 관련을 깊다. 관곡지는 시흥시 향토유적 8호로 지정된 곳으로 세조대 중신이던 강희맹(姜希孟)이 세조 9년 중국 남경에 사신으로 다녀와서 명나라 남경의 전당강에서 얻은 연꽃을 이곳에 심어, 이것이 퍼지자 안산군의 별호로 연성이라고 불렸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후에 이 이야기는 정조(正祖)17978월 행행으로 안산관아에 묵어갔는데, 안산의 유생들을 시험한 행행별시 제술의 어제시제로 출제되기도 하였다. 국왕 정조가 친히 지은 시니만큼 관곡지는 명성을 얻고, 1846년 안산군수 권용정(권만형의 후손)에 의해 경기감사 이계조의 허가로 부역자인 연지기가 두어지는 등 안산군의 명승이 되었다. 이밖에 연성에 대한 문헌상 기록으로 고려 현종대 국구 안산개국후에 추증된 안산김씨 김은부(金殷傅)의 후손인 김정경(金定卿, 1345~1419)이 태종을 도와 2차 왕자의 난에서 공을 세우고 연성군이라는 봉호를 받은 기록이 있어 연성이 안산의 별칭으로 이미 이전부터 쓰인 것을 알 수 있다.

   관곡지는 강희맹의 사위인 권만형에게 상속되어 현재까지 안동권씨 화천군파에서 소유하고 있다. 정조 어제시제의 장원을 한 권중술도 권만형의 후손이다.

 

 

옛 산뒤마을 남쪽 가능골

 

   산뒤마을은 조선시대 안산군 마유면 산북리로 군자봉 북쪽에 있어 산뒤로 불렸다. 설씨가 처음 세거하였는데 전설에 의하면 마을 형세가 풍수로 보아 호랑이의 입에 해당하여 설씨의 조상 묘를 이곳에 쓴 후부터 설씨가 와서 살기만 하면 죽었다고 한다. 그 후 남평문씨가 세거하였고 이어 1700년대 초에 이르러 문화류씨가 살기 시작하였다. 능곡동에 묘가 있는 광해군의 장인인 류자신(1533-1612)의 후손들이다.

바로 이 마을 앞 남쪽에 있는 마을이 좁은 골짜기에 자리 잡고 있어 가능골이라 불렸다. 이곳에 박동량 묘와 아들 금양위 박미(1592-1645)와 정정옹주(선조의 딸) 묘 그 아들 박태두, 손자 박필하(참봉), 증손 박사익(좌참찬) 등의 묘가 있는데, 입구에 이곳이 반남박씨의 선산을 표시한 반남박씨분산(潘南朴氏墳山)’표석이 서있다. 박사익이 짓고 서자를 표시하지 않았으나 필체로 보아 박사익의 글씨로 추정된다. 시기는 숭정재임자지춘(崇禎再任子之春, 1732, 영조8)이다.

   박태두는 1675(숙종1) 송시열이 화들 당하자 상소하여 변무한 글이 너무 과격하여 과거를 보지 못하게 처벌을 받았으나 1680(숙종 6) 감역(監役)에 제수되었으며, 군수(郡守)를 지냈다. 손자 박사익은 영조대 좌참찬에 이르는 등 현달하였다.

 

 

 

 

 

 

 

 

 

 

 

 

 

 

   분산비를 지나 50m 올라가면 거대한 맞배지붕의 비각이 눈에 들어온다. 2000년 초반에 중건된 것으로 박동량과 아들 박미의 신도비를 감쌌다. 거대한 두 신도비를 통해서 박씨 문중의 위상을 짐작하게 한다. 박동량의 신도비는 당대 최고의 중신이었던 친구인 김상헌이 짓고 송시열이 썼다. 비신 위쪽의 전자는 숙종비 인현왕후의 아버지 민유중의 글씨이다. 박미의 신도비는 송시열이 짓고, 이의현이 쓰고, 전자는 민진원이 썼다. 민진원은 시흥시의 호조벌을 축조한 인물(진휼당상)로 알려졌으며, 박동량 신도비의 전자를 쓴 민유중의 아들이자 인현왕후의 오라비이다. 신도비는 당대 서인과 노론의 내노라는 인물들이 참여 하였다.

 

 

 

 

 

 

 

 

 

 

 

 

 

 

 

 

 

 

 

 

 

 

 

 

 

 

 

 

 

 

 

 

 

 

 

 

 

 

 

 

묘소 뒷산 군자봉

   박동량 묘(시흥시 향토유적 12호 박동량 선생 묘 및 신도비)와 아들 박미의 묘가 있는 곳은 비앞골로 불린다. 시흥시의 명승인 군자봉 자란에 위치하였다. 박동량의 묘는 처음 파주군 남쪽에 장사지냈으나 1641(인조19) 지금의 자리로 이장하였다.

   박동량은 선조대 중국어에 능통하여 선조의 의주 몽진 당시 곁에 늘 함께하며, 통역을 맡았고 이러한 박동량은 선조가 영창대군의 안위를 부탁한 유교칠신 중 한사람으로 선조의 총애를 한몸에 받았다. 김상용(金尙容김상헌(金尙憲) 형제와 막역하였으며, 인목대비의 유릉 사주 사건에 연류되어 인조반정 후 유배되었다가 풀려났다. 후에 아들 박미, 박의의 상소로 복관되어 좌의정에 추증되었다.

   군자봉은 해발 199m로 경기도무형문화재 59호 시흥 군자봉성황제가 열린다. 정상에는 성황사지가 있다. 봉우리가 하나로 되어 있어 일봉산이라 부르기도 하고 산의 내령이 서쪽으로 뻗어 서령산이라고도 한다. 여지도서안산군조에는 군자산으로 기록되어 있다. 군자봉이나 군자산은 별의미 없이 함께 쓰이고 있다.

   조선시대 단종이 안산시 목내동에 있는 어머리 묘소(현덕왕후 소릉지)에 가는 길에 이 산을 보고 마치 연꽃처럼 생겨 군자의 모습과 같다.”하여 군자산이라고 하였다는 전설이 있다. 실제로 단종은 1454929일 현덕왕후의 능인 소릉을 참배하고 안산에 머물렀다는 기록이 실록에 전한다. 이 때문에 시흥시 곳곳에 단종 거둥과 관련한 전설이 깃든 지명이 있다.-시흥시지명유래(2006)

   박동량 강원도관찰사 시절 명승지를 찾으며, 소일할 때, 노산군이었던 단종의 묘(장릉)을 찾아 제사를 지냈던 일화를 통해 단종과의 인연을 느끼게 한다.

   이밖에 군자봉은 영험한 산으로 군자봉을 손가락질 하면 손가락이 구부러진다’, ‘말을 타고 가다가도 산 아래에서는 내려서 걸어가야 한다는 속설이 전한다.

   박동량 묘소에는 명망에 비해 석물이 단촐하다. 그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방부개석 양식의 비석이다. 피장자의 신분을 드러내는 묘비는 묘주의 당대 명성을 잘 드러내 주는 것으로 당대 노론의 거두 송시열이 짓고, 증손자 박사익이 썼다. 박사익은 당대 글씨가 뛰어나 많은 사대부의 비문을 썼다. 시기는 숭정무진후재병년 7월 일(崇禎戊辰後再丙年, 1726년 영조2)이다.

 

   박동량 묘 아래 아들 박미의 묘소가 있다. 박미(朴瀰)는 예학의 대가였던 김장생의 논산 양성당(養性堂)에서 정홍명(鄭弘溟), 나해봉(羅海鳳) 등과 수학하였다. 특히 시흥시 장곡동에서 1612년 김직재의 무옥으로 낙향해 12년간을 살았고 이때 인선왕후(효종비)를 낳고 국구가 된 장유(張維, 1587~1638, )와도 동문수학한 친구이다. 그리고 아버지 박동량은 김직재 무옥 당시 판의금부사로 추관이 되어 추국을 담당했고, 이들이 무고임을 알고 풀어주려다 당시 집권당인 대북파에 미움을 받았을 정도로 장유와는 막역하였다. 박미와 정정옹주의 묘표는 17세기 중반에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정조는 17978월 행행에서 16일 안산행궁에서 머물 때 명하기를

  “정안 옹주(貞安翁主)와 정정 옹주(貞正翁主)는 모두 장릉(章陵)164) 의 동기(同氣)인데, 정안 옹주는 금양위(錦陽尉), 정정 옹주는 진안위(晋安尉)와 합장하였다. 본릉(本陵)을 참배하고 또 이곳을 지나가는 일은 우연이 아닌 것 같다. 내시를 보내어 치제하도록 하라.(貞安翁主貞正翁主, 俱是章陵同氣, 貞安與錦陽, 貞正與晋安同岡展謁本陵, 又過此地, 事若不偶遣內侍致祭)”하고 정조는 손수 치제문을 지었다.

 

금양위 박미와 정안옹주의 묘소에 치제한 글(錦陽尉朴瀰貞安翁主墓致祭文)
도위 중 어진 이를 일컬을 때 都尉之賢
반드시 분서를 말하나니 必曰汾西
문장과 행실이 文章行誼
규장(珪璋)과 같이 아름다웠네 如璋如珪
무성한 저 가성에 菀彼佳城
정안옹주가 함께 묻혔는데 貞安是祔
친족에게 돈독히 하고 덕을 본받고자 敦親象德
술통에 하나 가득 술을 담았네 有酒盈卣
-홍재전서(弘齋全書)24/ 제문(祭文) 6

 

조선의 명문가 반남박씨 박동량 일가

   조선의 노마드로 열하일기(燕行日記)의 저자이자 이용후생학파를 이끈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은 박동량이 6대조, 박미가 5대조, 박세교가 4대조가 된다. 가능골 앞마을은 산뒤마을로 문양부원군 류자신의 후손들이 모여 살았는데, 류자신의 후손인 유득공(柳得恭, 1748~1807)이 박지원의 제자이다. 발해고(渤海考)의 저자인 유득공은 어려서 외가인 남양(모 홍씨)에서 살았고, 한양으로 옮긴 이후에도 이쪽을 지나 외가로 오갔다고 전해진다.

   정조의 배다른 둘째 아들인 순조는 박동량의 셋째형 박동망(朴東望)의 후손인 박준원(朴準源)의 딸 수빈(綏嬪)의 아들이다. 순조의 영민한 아들 효명세자까지 종통 이음 당시 수빈의 오라비였던 둘째 오라비 박종경(朴宗慶)의 세도가 대단하였다. 조선 최고의 부자로 청과의 인삼무역으로 돈을 벌었던 만상의 임상옥(林尙沃)과 막역하였다.

   구한말 미국상선 제너럴셔먼호를 불태우고(1866) 개화당의 스승인 박규수(朴珪壽, 1807~ 1877)는 박지원의 손자이고, 또 개화당으로 근대적 국가수립을 위해 갑신정변을 일으킨 금릉위 박영효(朴泳孝, 1861~1939, 철종의 부마), 그러나 그는 1939년 사망 당시 일제에 의해 조선 귀족 후작과 중추원부의장을 지낸 친일파였다. 그리고 박영효와 동시대 대외적 식견으로 구한말 외교관(초대 주미대사)으로 종회무진하고, 근대개혁을 추진하였던 박정양(朴定陽, 1841~1905)은 박동량의 백부 박응천의 후손이다.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참여하여 김구선생과 한인애국단을 이끌었던 독립운동가 박찬익(朴贊翊, 1884~ 1949,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이 있다. 파주 출신으로 일찍이 국가를 되살리자면 단군 신앙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하여 대종교에 들어갔다. 1910년 2월 만주로 망명하여 서일이 앞장서서 대종교 중심의 무장단체이 중광단을 만들자 적극 참여하여 망명자들을 규합하였다. 아들 박영준(간1915~2000, 도 용정 출생)도 독립군과 임시정부 재무부 이재과장 한국광복군 제3지대 제1지구대장 겸 제3지대 훈련 총대장을 한 독립운동가로 부자 독립운동가로 이름이 높았다

출처 : 경기도박물관 기획전시 '항일과 친일 백년 전 그들의 선택'(2022.4.27~9.12.)

  또한 박찬익 지사의 며느리 신순호 지사도 한국광복군과 임시정부 외무부 정보과에서 활동한 부부독립운동가이고 특히 부모인 신건식, 오건해 지사는 부부독립운동가이며, 아버지 신건식의 형은 임시정부  국무총리 대리 겸 외무총장을 지낸 신규식이다.  이렇듯 박찬익 지사의 일가친척 모두가 독립운동에 헌신하였다.

 

 

참고문헌

계곡집(谿谷集)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만성대동보(萬姓大同譜)

선조실록(宣祖實錄)

송자대전(宋子大全)

영조실록(英祖實錄)

인조실록(仁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하곡집(霞谷集)

현종실록(顯宗實錄),개수실록(改修實錄)

효종실록(孝宗實錄)

홍재전서(弘齋全書)

기전문화재연구원, 2000시흥시의 역사와 문화유적,기전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 제2, 수원, 경기출판사

시흥문화원, 2006始興市地名由來

시흥문화원, 2009장곡동의 어제와 오늘, 시흥시향토사료실

시흥시, 2013시흥문화유산

시흥시사편찬위원회, 2007시흥의 전통시대,시흥시사2

심우일, 2015 안산 거주시기 하곡 정제두의 삶과 학문, 3차 시흥지역문화세미나, 시흥문화원

안산시사편찬위원회, 2011학문과 예술, 그리고 문화유산, 안산시사4

이병권, 201417978월 행행(行幸)과 정조사적(正祖史蹟) 고찰(考察)-시흥지역을 중심으로-,京畿鄕土史學19, 京畿道文化院聯合會

경기도박물관 기획전시 '항일과 친일 백년 전 그들의 선택' https://musenet.ggcf.kr/reference/p/62451a46a735092956e012e0

조선왕조실록 sillok.history.go.kr

한국고전번역DB http://db.itkc.or.kr/itkcdb/mainIndexIframe.jsp

한국양명학회 http://www.ymhh.or.kr/modules/doc/index.php?doc=intro

한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