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선대원군 5

국립고궁박물관

2012년 1월 14일 정확하지 않다.박물관을 가면 으레 무엇을 볼지 무엇을 남길지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고민하게 된다. 무수히 많은 유물이 있는 곳은 더욱 그렇다. 그래서 처음 박물관에 가서는 박물관의 특성과 시설을 안내하는 정보적 의미를 담자 했다. 분량도 많고 만만치가 않다. 그리고 이런 정보는 요즘처럼 홈페이지가 잘 된 시대에 무슨 의미일까 그렇지 못한 박물관에 가면 하자로 바뀌었다. 그럼 무엇을 남길 것인가 그래서 이 박물관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을 남기자로 바뀌었다. ​국립고궁박물관은 경복궁 내 있는 박물관으로 조선 왕실 유물을 소장 전시하는 곳이다. 2012년과 지금은 많이 바뀌었다. 일단 경복궁이 바뀌었다. 정문인 광화문에 월대가 생겼다. 월대의 의미는 궁궐이 가지는 위상과 같다. 일반 건물..

안동 퇴계 유적 답사(계상서당)

안동 퇴계(退溪) 유적 답사 낙동가 지류인 토계천 상류는 상계라고 하여 상계마을에 여러 퇴계 선생과 관련한 곳이 있다. 종택 맞은편으로 토계천을 건너면 고성이씨 탑동파 파조 이적의 추모 공간인 산천정사와 고계정이 있다. 고계정(古溪亭)은 퇴계의 10대 종손인 이휘영의 정자로 선생의 호인 고계를 따서 고계정이라 부르며 3개의 방과 대청마루가 있다. 백운서당(白雲書堂), 한서암(寒栖菴), 장서각(藏書閣)이 나란히 위치해 있으며, 한옥 숙박지로 개방하고 있다. 고계정이란 편액은 흥선대원군이 당호로 고계산방(古溪山房)이라 내렸으나 없어지고 현재 고계정이 달려 있다고 한다. 그리고 상계마을은 계상서당을 짓고 후학을 양성하고자 애쓴 곳이다. 퇴계 선생이 낙향하여 후학을 양성하였던 계상서당(溪上書堂)이 있었다. 현재..

화성시 정조대 문인 이옥 유허 및 마산포 답사

그러나 네 체질이 비록 미물이나 또한 하늘이 낳은 것이고소리가 비록 울음 네게서 나오지만 하늘이 실은 너를 빌려 욺이니너의 소리가 아니라 곧 하늘의 정(情)이다(然而爾質雖微, 亦天之生. 聲雖在爾, 天實假鳴, 非爾之音, 卽天之情)벌레소리를 읊은 부(蟲聲賦) : 이옥 저,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역주, 2001, 『역주 이옥전집』 1권, 소명출판, 53쪽 자유를 입에 담는 순간 자유롭지 못하다는 이야기가 있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자유를 꿈꾼다. 항간에 인기 있는 방송 ‘자연인’은 이러한 사람들의 생각을 잘 파고든 TV프로그램이다. 그리고 누구보다도 자유를 외쳤지만 자유롭지도 못했고 더군다나 대한민국을 자유롭지 못하게 만들고자 비상계엄을 획책하여 파면된 윤석열 대통령도 있다.(2025.4.4.11:22) 진정..

매천야록(황현)에 보이는 이순신 장군 및 조선의 명신(황희, 송시열 등)

梅泉野錄 卷一上 甲午以前 六五, 我朝名臣, 有以諡而行于世者三人, 曰翼成公則知其爲黃喜(厖村), 曰文翼公則知其爲鄭光弼, 曰忠武公則知其爲李舜臣, 有以封贈者一人, 曰遼東伯則知其爲金應河也。 육십오 번째, 우리조선시대 명신으로서 시호를 가지고서 널리 행세할 수 있는 이는 세 분을 들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