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59

정정옹주, 진안위 유적 묘역

정정옹주, 진안위 유적 묘 유시행 묘(아버지), 유영 묘(동생) 능묘에 참배하고 돌아오는 길에 / 拜陵歸路 저 무성한 무덤을 보고 / 彼菀者阡 옛적의 우애를 생각하니 / 想昔友于 도리어 내가 서글프도다 / 顧予悢然 현위가 오른쪽에 있고 / 賢尉在右 귀주가 왼쪽에 있으니 / 貴主在左 바라건대 능히 흠향할지니 / 尙克歆止 계모와 산과를 바치네 / 溪毛山果 -홍재전서 제24권 / 제문(祭文) 6 진안위(晉安尉) 유적(柳頔)과 정정옹주(貞正翁主)의 묘소에 치제한 글(晉安尉柳頔,貞正翁主墓致祭文) 이 시는 1797년 8월 행행에서 정조대왕이 시흥지역을 행차하면서 현재의 수암동의 안산객사(행궁)에서 머물고 왕족이나 공신들에게 치제를 명하면서 정정옹주에게도 치제와 치제문을 어제로 내린 것이다. 시를 통해 원래 묘는 봉..

영응대군 묘 및 신도비

영응대군 묘 및 신도비 [永膺大君墓-神道碑] 시흥시 군자동 구준물(구지정) 마을에는 군자봉이 있고 그 산자락에 영응대군(永膺大君, 이염[李琰]) 묘가 있다. 영응대군은 세종대왕의 여덟째 왕자로 왕과 소헌왕후 심씨의 사랑을 많이 받은 왕자로 알려져 있다. 묘소와 함께 신도비도 주목되는데, 신도비를 지은이가 우리가 잘 아는 간신 임사홍이다. 임사홍은 아버지 임원중이 당대 문장가로 유명하였고 그 영향으로 글을 잘 지었다. 영응대군의 사위 능성부원군 구수영의 맏딸이 임사홍의 아들 임희재에게 출가한 인연으로 임사홍이 비문을 짓게 되었다. 신도비에는 비각이 없었으나 최근에 세워졌다. 영응대군 묘는 처음 경기도 양주군 건천면 군장리(경기도 양주시) 팔곡산(초장지[初葬址])에 있었으나 1900년(광무 4) 안산군 마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