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이샘의 역사나들이(답사)

소래염전 소금창고 그리고 가시렁차, 시흥 갯골생태공원

달이선생 2019. 10. 21. 11:00

소래염전 그리고 가시렁차, 시흥 갯골생태공원

 

  동아일보 1937년 7월 11일자 기사에 '58만원으로 대염전 기공-부천군 소래면에서'라는 기사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의 시흥 갯골생태공원은 일제가 만든 대규모 천일염전인 소래염전이었다. 그 이전에는 당연히 바다였다. 소래염전은 1934년 착공하여 1937년 완공하였다. 부지는 지금의 시흥시 장곡동, 신현동, 월곶동에서 인천시 남동면 논현동까지 이어지는 대규모로 평수로 149만평(일제측 549정보)에 이르렀다. 공사에 동원된 인원도 연인원 40만명이 넘었고, 공사비도 60만원이 들었다. 군자염전과 마찬가지로 소래염전을 건설할 때도 중국인 노동자(쿨리)가 대거 참여하였다.

 

 

 

소래염전 축조를 알리는 동아일보 기사(출처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34070400209204010&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34-07-04&officeId=00020&pageNo=4&printNo=4875&publishType=00020)

 

  일제가 소래염전을 축조한 것은 일제의 천일염 관영화 정책에 따라 총 4기에 걸쳐 대규모 염전을 조성하였는데, 시흥시에 속한 염전인 군자염전(1924년 축조)이 초기에 해당하는 2기에 소래염전이 4기에 만들어졌다. 이렇게 일제가 천일염전에 매달린 것은 바로 일본의 산업발달에 매우 기초적인 원료가 소금이었기 때문이다. 화학공업은 물론 섬유공업까지 소금은 없어서 안될 기본적인 원료였다. 이러한 소금을 조선에서 대량으로 생산한 것은 일본이 소금생산지로 부적합했기 때문이다. 다행히 일본의 식민지 조선은 천일염전의 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었다. 일년내 풍부한 일조량, 조수간만의 차가 커 너른 염전을 만들 수 있는 서해안 갯벌, 그리고 일본과 가장 가까워 해로로 수탈하기 좋은 조건이었다. 이처럼 일제의 대만-관동주(만주)를 잇는 조선의 지정학적 위치는 매우 중요했다.

 

 

 

(출처 : 시흥시사6, 279쪽[2007]

 

1980년대 소래염전(출처 : 시흥시사6, 285쪽[2007]

 

  이렇게 생산된 소금은 수인선 협궤열차(1937년 개통)를 통해 인천 제물포로 운반하여 일본으로 반출하였다.

 

 

 

(출처 : 시흥시사3, 246쪽[2007]

 

(출처 : 시흥시사3, 245쪽[2007]


  현대에 들어 여전히 중요했던 시흥의 염전들은 지역경제를 견인하는 역할을 하였다. 군자권의 도일시장이 1953년 군자시장으로 개시되었고, 인근 주민들은 농업을 하면서 염부로 일하며, 수입을 올려 부유할 수 있었다. 염전도 자꾸 확대되어 면적인 600ha에 달하며, 천국 최대 규모였다. 드넓은 염전에서 생산되는 소금은 일일이 사람들이 다 옮길 수가 없어서 군자염전과 소래염전에는 일명 '가시렁차'로 불린 가솔린 엔진의 작은 궤도운반차가 운영되었다.

  흔히 사람들은 염전하면 전라도 신안을 많이 떠올린다. 현재도 많은 염전이 운영되고 있고 신안소금이 알아주니 당연하다. 하지만 50년전만 하더라도 소금하면 경기도, 특히 시흥소금이었다. 1977년 개봉한 '엄마없는 하는 아래'는 시흥의 염전을 배경으로 한 영화였다.

  그리고 현재의 시흥시의 전근대 행정구역이었던 인천과 안산에는 천일염전은 아니지만 솥에 끓여 만든 우리나라 전통소금은 자염(煮鹽)생산이 많이 이루어졌다.

 

볼거리 풍성한 농촌의 생활

추흥이 저절로 유연하게 일어나네

가까운 이웃끼리 마을마다 술잔치

여기저기 따비밭 태우는 연기

서리 맞은 오이 덩굴 거꾸로 매달리고

빗물 흥건한 국화 가지 한 쪽으로 처져 있네

고목나무 매미 소리 잠잠해지고

싸늘한 하늘엔 기러기 그림자 걸렸어라

조수(潮水) 물 빠지는지 살펴보는 어부들

마을 공터 물색하는 봇짐장수들

해변가는 대부분 소금이 주업(主業)

길다란 제방 덕에 염전 쉽게 일궈지네

가난한 시골 마을 세금 독촉 시달리고

변방에선 계속해서 북소리 둥둥 울리는데

거친 밥 달게 먹는 촌로(村老)의 생활

초가집에 편히 누워 낮잠을 즐기노라

(田家饒物色 秋興自悠然

逼社村村酒 燒畬處處煙

迎霜瓜蔓倒 帶雨菊枝偏

古樹蟬聲歇 寒空雁影懸

漁人候潮落 估客趁虛前

近海多鹽戶 長堤護鹵田

窮閻井稅急 絶塞鼓鞞連

野老甘疏糲 茆齋穩晝眠)-전원 생활의 감흥을 읊은 팔운(田居漫興 八韻), 계곡선생집(谿谷先生集)29, 오언배율(五言排律) 37

 

  현재의 장곡동에서 낙향하여 한가로이 시를 읊은 신풍부원군 장유의 시이다. 시에서 자염 굽는 마을 풍경과 마을사람들의 이야기가 있다. 이처럼 시흥지역을 소개한 각종 지리지에서는 어염이 풍부하여 부유한 곳으로 기록하고 있다. 천일염전을 만든 일제도 각종 보고서('한국수산지'[조선총독부, 1911])에서 이러한 사실을 조사하고 알고 있었다. 그래서 시흥에 군자, 소래염전이 만들어진 것이다.

  잘 나가던 시흥염전에 먹구름이 드리워졌다. 국가 전매제에서 민영화가 되어 대한염업이 되면서 변화에 발맞춰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였지만 소금산업의 쇠퇴를 막지는 못하였다. 결국 채산성 악화로 소래염전이 1996년 폐업하면서 시흥소금의 시대는 막을 내렸다. 이미 1987년 군자염전은 시화지구 개발사업에 편입되어 대규모 공업단지로 변하였고, 소래염전도 주)성담에서 골프장을 일부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시흥시에서도 시흥 갯골생태공원을 만들어 보존 습지로 등록하였다. 그러나 아직도 소래염전 부지를 어떻게 할 것인가를 두고 개발이나 보존이냐로 나뉘어 갈등을 빚고 있다.

  더욱이 2007년에는 시흥시가 소래염전 40개소의 소금창고를 근대문화유산으로 지정하고자 문화재청 심의를 앞두고 있었는데, 부지를 소유한 성담에서 6우러 3일과 4일 밤과 새벽을 이용해 37개 소의 소금창고를 모두 허물어버렸다. 사유재산 보호를 위한 극단적인 문화유산 훼손사례로 국내에 대표적인 사건으로 알려지고 있다.

 

 

 

 

 

 

 

 

 

 

 

 

 

(2014.4.7)

 

 

 

 

 

 

 

 

 

 

 

 

 

(출처 : 시흥시사6, 314쪽[2007]

 

(출처 : 시흥시사6, 347쪽[2007]

 

  소금창고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재 소금창고 건축물로 1949년에서 1955년 사이에 건축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소래염전 당시 해방 후 무려 75동이 있었지만 현재는 2동만 남아있다. 목재 소금창고로는 유일하게 보존된 것으로 건축적(희소성)으로 의미있고 경기만의 소금 생산(천일염)에 관련한 제염의 역사와 이와 관련한 지역주민들의 생활과 변화를 간직한 상징적 의미가 있다. 따라서 경기도문화재위원회 등록문화재분과위원회에서는 2022년 3월 31일(목) 옛 소래염전 소금창고 2동을 경기도 등록문화재 제13호로 등록하였다.

  이러한 노력에는 오이도선사유적이 시민들의 노력으로 국가문화유산으로 보존된 것처럼 소금창고도 시민들이 나서서 문화유산으로 보존되게 하였다. 이 과정에서 소금창고의 현장을 오랫동안 찾아 사진으로 담아 시민들에게 소금창고의 현재와 과거를 알렸던  최영숙, 김종환 사진작가가 있다. 지역역사연구회 한개 회원(회장 심우일)들은 자비로 향토사를 발굴하고 염전과 관련된 사람들을 찾아서 구술조사를 하여 소금창고에 대한 기억을 아카이브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을 민관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시민 주도 소금창고 보존에 앞장선 시흥에코뮤지엄 연구회가 있다. 특히 연구회의 조직과 문화재 등록에는 시흥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강석환 사무국장이 있다. 경기문화재단과 협력하여 시흥에코뮤지엄 사업을 적극추진한 것이다. 그리고 시흥시청 향토사료실 김치성 상임위원이 역사적 자료와 해당 문화재 등록을 위한 행정을 담당하였다. 소금창고의 역사와 보존을 위해 힘쓴 이들이다. 이 기억은 어디까지나 지근거리에서 보았던 것이다. 그 이전부터 소금창고 보존을 위해 애쓰신 분들은 더 많을 것이다.  소금창고와 함께한 모든 사람들에게 문화유산 등록을 이룬 성과에 박수를 보낸다.

https://news.v.daum.net/v/20220510141012851?f=o

 

소금창고·둔대교회 문화유산 3건 '문화재'되다

노소정 앵커> 우리 주변에는 보존가치가 높은 문화 유산이 많죠. 경기도는 이런 문화유산을 찾아 문화재로 지정 관리하고 있는데요. 이번에 옛 소래염전 소금창고, 근화창가 제1집 등 3건의 문화

news.v.daum.net

경기도 등록문화재는 엄격한 규제를 통한 항구적 보존을 목표로 하는 지정문화재와 달리, 지정문화재 제도를 보완하고 경기도 내의 근현대 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지정문화재보다 다소 완화된 규제를 적용하여 별도로 등록하는 제도이다.

 

 

 

 

 

 

 

(출처 : 시흥시사6, 352쪽[2007]

 

 

 

 

 

 

 

 

 

 

 

 

 

 

 

 

 

 

  2019년 9월 19일 반가운 일이 있었다. 주)성담 솔트베이 입구에 있었던 가시렁차를 소래염전 소금창고 앞으로 이전하였다. 그동안 시민들은 가시렁차의 이전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펼쳐왔다.

 

 

동영상

 

 

 

 

 

 

 

 

 

솔트베이 입구에 놓여있는 가시렁차(2016.12.28)

 

 

 

 

 

가시렁차 제자리 찾기 행사(출처 : 미디어시흥 http://www.siheung.go.kr/media/?photo=%ea%b0%80%ec%8b%9c%eb%a0%b9%ec%b0%a8-%ec%a0%9c%ec%9e%90%eb%a6%ac%ec%b0%be%ea%b8%b0-%ea%b8%b0%eb%85%90%ec%8b%9d2019-09-19#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