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이샘의 역사나들이(답사)

2019 경기만에코뮤지엄 안산에코뮤지엄

달이선생 2019. 6. 20. 13:00

2019 경기만에코뮤지엄 시흥에코뮤지엄연구회 투어(안산에코뮤지엄, 대부도)

 

  시흥에코뮤지엄연구회 2기가 2019년 6월 10일 시흥시 월곶동 시흥 월곶공판장 아트독에서 출범을 하고 그 첫 사업으로 6월 20일(목) 경기만에코뮤지엄 답사를 하였다.

  경기만에코뮤지엄 사업은 2016년 경기만에 속한 시흥시를 비롯한 안산시, 화성시가 경기도와 협약하고 드넓은 경기만을 에코뮤지엄하고자 시작된 사업이다. 에코뮤지엄(Ecomuseum)은 본래 생태 및 주거환경을 뜻하는 에코(Eco)와 박물관을 뜻하는 뮤지엄(Museum)을 결합한 단어로 이를테면 생태박물관, 환경박물관, 지역박물관, 민속박물관 등 목적이나 배경에 따라 해석할 수 있다. 또는 에코뮈제(Ecomusee), 지역공동체 박물관, 지붕 없는 박물관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하여튼 일반적인 공간 중심의 박물관을 탈피하여 기억, 자연, 경관, 지역 문화 등 여러 가치 있는 다양한 요소들을 박물관 개념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러한 생각에 더해 많은 에코뮤지엄을 정의한 것이 있지만 에코뮤지엄은 '재발견'이 아닐까 생각한다. 우리가 느끼는 공간, 문화, 사람들 이 모든 것이 에코뮤지엄에 속하는데 이는 없다가 있는 것이 아닌 항상 우리가 느끼지 못할 뿐, 우리 곁에 있었던 것이다. 이를 느끼고 다시 보는 것,  다시 아는 것, 이것이야말로 재발견, 즉 에코뮤지엄이다.

  에코뮤지엄이 되는 경기만은 한반도 중부에 위치한 북으로 황해도와 남으로 인천광역시, 경기도와 충청남도를 아우르는 반원형의 거대한 만으로 거리는 100km이며, 복잡한 해안선은 길이는 약 528km에 이르고 크고 작은 섬이 200여 개로 이루어진 대단위 지역이다. 역사적으로 이곳은 고대 백제의 해상활동의 무대이자 고구려 수군의 한성백제 공략, 백제와 고구려 멸망(당나라 출병), 대당신라인의 중심루트(당은포로[唐恩鋪路]), 고려의 국제무역항 벽란도와 몽골과의 항쟁, 서세동점의 시대 이양선의 출몰과 프랑스, 미국, 그리고 일부 상인들의 문호개방으로 충돌했던 곳이다. 더욱이 청일전쟁의 도화선이 된 서해해전인 풍도해전 이후로 우리는 빠르게 일제의 식민지로 전락하였다. 이렇듯 경기만은 때론 문화와 교역의 중심지로 때로는 외세침략의 교두보였다.  

  답사는 시흥에코뮤지엄 호조벌(보통천, 연꽃테마파크)에서 시작하여 시흥시 정왕동 곰솔누리숲(중앙완충녹지)을 돌아보고 이어 안산에코뮤지엄인 대부도에코뮤지엄센터(일제강점기 대부면사무소)와 화성에코뮤지엄의 제부도 제비꼬리길, 제부도 아트파크 등을 차례로 살펴보았다.

 

 

 

  안산에코뮤지엄은 대부도를 중심으로 육지화된 선감도까지 역사문화자원이 풍부하다. 특히 대부도 읍내는 옛 정취가 고스란히 남아있는 곳으로 분위기가 사뭇 지방의 소도읍과 같은 풍경이다. 그리고 대부도에코뮤지엄센터가 자리잡은 곳은 일제강점기 한옥으로 지어진 구 대부면사무소를 정비하여 한 것으로 대부도의 역사성을 잘 드러내 주고 있다. 물론 외형상 전통한옥이기보다는 계량이면서 일본풍의 건축물이다. 이렇듯 대부도의 역사성을 단번에 보여주는 번듯한 센터가 있지만 대부도가 에코뮤지엄을 잘 해 나가고 있는지는 잘 보이지 않는다.

  대부도는 화성시에서 바라보면 큰 솥처럼 생겼다. 흉년에는 더욱 그렇게 보였다고 한다. 그래서 큰 솥섬, 대부도(大釜島)였는데 지금은 대부도(大阜島)로 바뀌었다. 큰 솥처럼 큰 섬인 대부도는 곳곳에 역사문화자원이 산재해 있지만 이런 것들을 활용하고 주민과 함께 에코뮤지엄을 만들어 가는데는 역부족으로 보였다. '대부도 향토 에코뮤지엄 20선(選)'이라는 소책자를 펴내서 대부도의 역사성과 문화로 이야기 될 수 있는 많은 스토리텔링 자료를 제시하고 있지만 이를 연계한 사업은 찾아 볼 수 없다. 이렇듯 안산에코뮤지엄의 한계가 뚜렷하다. 경기도창작센터가 위치한 대부도에 인적자원이 없는 건 아닌데 무엇이 문제인가 생각에 잠긴다.

  오늘 찾아본 센터만 해도 그 자체가 문화재지만 그 옆에는 대부도의 역사성을 드러내 주는 대부도 송덕비군이 있고 또한 올해 3.1운동 100주년으로 역사적으로도 3.1운동이 크게 주목되는 가운데 이곳 대부도 3.1독립만세기념비와  3.1운동이 일어난 만세운동지라는 중요성을 에코뮤지엄이 잘 풀어 나가지 못하고 있다. 물론 안산에코뮤지엄이 아쉬움도 크지만 선감도에서 잊혀졌던 인권유린의 역사인 선감학원을 재조명하고 이를 기억하는 작은 박물관을 시도한 사례도 있어서 주목되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과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대부도와 안산에코뮤지엄이 가는 방향에 대한 동력으로 이어지는지는 의문이다. 혹 역사와 문화라는 틀에서만 바라본 건 아닌지 그래서 좁은 소견이길 바란다. 

  수도권 곳곳이 개발로 옛 정취는 온데간데 없는 지금, 대부도가 가지고 있는 여러 자원은 그 자체로 에코뮤지엄으로 손색이 없다. 이를 다른 누군가에 밝은 눈으로 보일 수 있는 '재발견', 시흥에서의 아무 것도 아니라는 것이 아무 것도 아닌 것이 아니게 하였던 '재발견'이 된 시흥에코뮤지엄 사례처럼 안산, 대부도에서도 재발견이 시작되길 바란다.

 

 

 

 

 

 

 

 

 

 

 

 

 

 

 

 

 

 

 

 

 

 

 

 

 

 

 

 

 

 

 

 

 

 

구 대부면사무소 상량문

"?소화8년계유4월초5일오시상량축좌미향대부면장김완수목역차??이???(?昭和8年癸酉4月初5日午時上樑丑坐未向大阜面長金完洙木役車??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