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이샘의 역사나들이(답사)

시흥시 '신안주씨 삼세적선비'

달이선생 2019. 6. 12. 10:30

  신안주씨 삼세적선비(新安朱氏三世積善碑, 시흥향토유적 17호)는 시흥시 과림동 중림 마을에 위치한 말 그대로 신안 주씨가의 삼대의 걸쳐 적선한 것을 기념하는 비이다. 비석이 위치한 중림(重林)은 시흥시에서도 유서 깊은 마을로 전근대 인천에 속했던 지역이다. 마을 서쪽을 안말, 동쪽을 아랫말, 중앙을 가운뎃말로 나눠 부르고 있다. 그리고 조선 시대 인천부 등을 연결하던 중요한 역로였던 중림도의 중심 역인 중림역이 위치하였다. 그래서인지 중림마을에는 신안 주씨 외에도 청주 한씨, 여흥 민씨 등 유력 가문의 오랜 세거 마을이다. 재밌는 것은 조선 말기 달성 서씨가 경기감사를 할 때 그의 선대 묘를 이곳에 쓰기 위해 역사를 시흥 발시(금천구 시흥동)로 옮겨, 그 후부터 마을이 쇠하기 시작하였다는 말이 전하는 것으로 보아 중림 마을의 안말에 위치하였던 중림역이 주민들에게 미친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이야기와 관련된 것인지는 정확히는 모르지만 중림마을에는 달성 서씨로 정조대 문신인 이조판서를 역임한 서정수(徐鼎修, 1749~1804)의 묘가 안말골의 뒷산 구릉(과림동 산23-8)에 남동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또한 중림에는 비석거리라는 지명이 전하는데 '시흥시 지명유래'(2006, 시흥문화원)집에는 중림역이 위치한 안말 입구에 중림역의 찰방 선정비가 있어서 비석거리로 불렸다고 하는데, 지금은 삼세 적선비가 위치한 중림마을 안 도로가를 비석거리로 부르고 있다. 시흥문화원에서 펴낸 지명유래집이 2006년이고 4~5년에 조사를 했던 것인데, 그로부터 10여년 지나서 지명의 위치와 내용이 달라진 것이 흥미롭다. 그리고 비석거리의 상징인 중림역 찰방 선정비는 1950년대 모두 없어졌다고 전한다.

  신안주씨 삼세적선비와 그 옆의 주공영식자선기념비(朱公永植慈善紀念碑)는 일제강점기 이 집안의 선행을 보답하기 위해 중림, 부라위, 계수동 안골마을 주민들이 십시일반 모금하여 세운 비이다. 전국을 다니면 옛 관아지나 향교, 옛 주요 교통로 부근에는 선정비가 많이 보인다. 이들 선정비는 그곳에 관리로 나왔던 지방관이 대개 주민들에게 강제로 세우게 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1894년 동학농민혁명(갑오농민전쟁)을 야기했던 탐관오리 조병갑의 선정비가 좋은 예이다. 함양군에는 조병갑 청덕선정비가 있는데, 조병갑이 설마 고부에서만 가렴주구를 일삼았던 탐관오리가 되었을리가 없다.

  그리고 자선비와 달리 대대로 지역 유지로 주민들을 구휼하고 나누는데 앞장선 가문들도 있다. 경주의 최부잣집이나 구례의 운조루가 대표적이다. 이들 경주 최씨나 문화 유씨는 지역의 주민들에 어려움을 통해 부를 확장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부로 어려움을 당한 이웃들을 대대로 도와 주어 한국전쟁에 이르기까지 많은 역사적 어려움 속에서도 민중의 타도 대상이 되지 않았던 조선의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상징이다. 이밖에 독립운동 등으로 가산을 정리하면서 선행을 했던 경주 이씨 이회영 가, 이상설 등 많은 사례들이 있다. 중요 한 것은 이들 사례는 당대에 한 정된 것이 대부분이다.

  그렇지만 시흥시의 신안 주씨가의 선행은 주석범 이래 아들 주순원과 손자 주인식, 주영식에 이르기까지 삼대 및 손자 형제의 선행이라는 점에서 시흥시는 물론 전국적으로도 이러한 사례는 드물다는 것에서 매우 의의가 있다. 시흥시에는 신안 주씨가의 선행 말고도 당대에 그친 자선비가 있다. 일제강점기 현재의 장현동 일대의 소작농의 어려움을 들어 소작료를 낮춰 10년간 고정해준  '낭정호 송덕비'(1932)와 그 근처 능곡동 삼거리에서 발견된 '문명석, 조덕준 자선기념비'(1921, 자선 대상지역 및 주체가 불명확하여 현재 시흥시에서는 그 건립경위에 대한 제보를 받고 있다.)가 그것이다. 낭정호 송덕비는 군자면 구장터(석곡산대장)에서 3.1운동을 주도하다 옥고를 치룬 애국지사 권희의 주도로 짓고 건립되었다.

  신안주씨삼세적선비는 1917년 세우고 5년 후인 1922년 비를 보호하기 위해 비각을 세운 것이다. 과림동 중심도로인 금오로가 곁이라 최근에 금오로 확장공사가 시급하여 시흥시는 신안 주씨 종친회와 협의하여 비와 비각을 온전히 보호하는 조처로 2019년 6월 12일 원래 있던 위치에서 뒤로 5m 정도 이전하였다. 옮겨진 자리에는 주춧돌을 4개를 남겨두어 원래 자리의 표석으로 삼았다. 세월에 따라 적선비의 주변은 많은 변화를 겪어 왔다. 과거 적선비에 대한 사진 자료를 보면 지역에서 이를 보호하고자 애쓴 모습이 역력하다. 이러한 노력 뒤에는 김영현 시흥시향토사료실 문화재 전문위원의 숨은 노력이 있다 지금은 퇴사하고 없지만 삼세 적선비가 문화재로 온전히 보전되도록 많은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갑작스런 퇴사로 향토사료실 김치성 상임위원이 도맡아 오늘 이전 공사와 함께 식을 거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한 신안 주씨 문중과 주민들은 감사패를 전달하였다. 

  주영식 자선비의 좌측면 위쪽에는 총탄의 흔적으로 보이는 것이 있어 아직 알려지지 않은 어떤 이야기가 있을지 궁금하다. 그리고 비석 말고도 비각도 이번에 대목을 통해 공사를 진행하면서 매우 잘 지어진 것으로 근현대 문화유산으로 손색이 없다는 평이다. 실제로 주변에 다니다 만나는 8~90년대 만들어진 비각 들과는 결이 다르다는 것을 딱 보면 알 수 있다. 적선비도 그렇지만 그 옛날 주민들이 비각에 들인 정성도 알 수 있었다. 

  중림에서 계수동으로 넘어가는 계수 터널 부근에서 아래로 중림마을 바라본다. 그 옛날 주씨가의 일원으로 자신도 선행에 앞장 섰던 주영식은 아침이면 일찍 뒷산에 올라 아침밥 짓는 연기가 오르지 않는 집이 있나 없나 살펴보고 연기가 나지 않는 집에는 양식을 보냈다고 한다. 그 옛날 주영식의 마음 씀을 확인할 수 있는 모습은 아니나 그 아름다운 마음 씀이 여운으로 남는다. 그린벨트로 어지럽게 수많은 공장이 뒤엉켜 살아가는 중림과 이웃한 마을의 모습들이 오버랩된다.

 

 

참고자료

기전문화재연구원, 시흥시의 역사와 문화유적,기전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 제2, 2000.

시흥시사편찬위원회, 시흥의 전통시대, 시흥시사2, 2007.

시흥시 향토사료실, 고서, 고문서로 보는 조선시대 시흥,시흥역사문화총서1, 2006.

시흥문화원, 시흥시 지명유래(始興市地名由來), 2006.

시흥시 과림동, 과림동사, 2014.

디지털시흥문화대전(http://siheung.grandculture.net/siheung)

경기도메모리(memory.library.kr)

디지털안산문화대전(ansan.grandculture.net)

시흥시 사이버역사관(history.siheung.go.kr)

한국고전번역DB(db.itk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