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곡 2

강화 하곡(하일리) 정제두 유허지

상도면(上道面) 187. 하일동(霞逸洞) 하현(霞峴)의 서남쪽은 골짝마다 그윽한데(霞峴西南谷谷幽), 재상이 예로부터 이 산중에 머물고 있네(山中宰相古今留). 두 정승(정제두, 최규서)의 집터와 세 정승의 무덤(정유성, 정제두, 권개) 있어(二公宅址三公墓), 이곳을 강화도의 ʻ제일구(第一區)ʼ이라고 부른다네(云是江州第一區). 상도면(上道面)은 강화부 관아 남쪽 35리에 있다. 도촌 정유성(陶村 鄭維城)은 묘는 하일리(霞逸里)의 서쪽 산기슭에 있다. 정제두는 도촌의 손자이다. 집터가 여기에 있는데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여러 번 조정에서 불렀지만 나아가지 않았다. 고향에 은거하면서 도학을 온전히 갖추었으며 오조를 거쳐 국태로(國太老)의 학자라고 하였다. 또 하곡 선생이라고 불리었으며, 원자보양관(元子輔養官)..

시흥시(始興市)의 한국양명학(韓國陽明學) 연구(硏究)

시흥시(始興市)의 한국양명학(韓國陽明學) 연구(硏究)-장유(張維)와 정제두(鄭齊斗)를 중심으로-       1. 들어가기    시흥시(始興市)는 전근대시대 인천(仁川)과 안산(安山)을 경유한 지역으로, 이지역의 역사와 맥을 같이 한다. 특히 이 글에서 주목하고 있는 한국양명학(韓國陽明學)의 장유(張維, 1587-1638)와 정제두(鄭齊斗, 1649-1736)는 당시 안산에 지역적 연고를 맺고 활동하였다. 현재 이들의 연고지는 시흥시이다.  양명학은 주자학(朱子學=程朱學)과 함께 신유가 철학의 양대 주류를 형성했다. 양명학은 심학(心學) 혹은 육왕학(陸王學)이라고도 한다. 정주학 특히 주희(朱熹, 1130-1200)의 학설을 부정하던 육구연(陸九淵, 1139-1192)의 이론을 왕수인(王守仁, 14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