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5 5

만리장성과 자금성, 중국국가박물관

2024년 5월 20일부터 30일까지북간도 조선족연변자치주 연길시와 두만강 북중 접경지 도문(남양), 한인 개척지인 용정시, 민족의 영산 백두산과 우리 역사 고구려 도읍 국내성인 집안시(만포시) 그리고 비류수가 흐르는 통화, 고조선, 고구려, 발해의 고토이자 고려와 조선 유민의 땅 심양까지 1천 km 오늘날 중국의 중심 북경으로 7백 km 상해까지 1천2백 km까지 일명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현장을 다녀왔다. 장장 3천 km의 '독립 로드'였다. '중국에서는 10리를 가면 풍경이 바뀌고 100리를 가면 말이 바뀐다."드넓은 중국, 장성 너머는 중국이 아니다. 중국의 딜레마이다. 그래서 지금도 장성을 확대하고 있다. 들리는 말로는 동으로는 우리나라 평양성까지 확장할 기세다. 만리장성은 중국에서는 쓰지 않..

심양고궁과 대륙침략의 자리 9.18역사박물관

2024년 5월 20일부터 30일까지북간도 조선족연변자치주 연길시와 두만강 북중 접경지 도문(남양), 한인 개척지인 용정시, 민족의 영산 백두산과 우리 역사 고구려 도읍 국내성인 집안시(만포시) 그리고 비류수가 흐르는 통화, 고조선, 고구려, 발해의 고토이자 고려와 조선 유민의 땅 심양까지 1천 km 오늘날 중국의 중심 북경으로 7백 km 상해까지 1천2백 km까지 일명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현장을 다녀왔다. 장장 3천 km의 '독립 로드'였다.​통화에서 이어지는 서간도 일대는 만주족이 많이 사는 곳이다. 곳곳에 그들이 신성시하는 버드나무가 가로수로 펼쳐져 있고 그들 농가 한켠에는 고구려의 2층 창고인 부경에 옥수수가 그득하다. 버드나무는 고구려 시조 주몽의 어머니 하백의 딸 유화부인의 상징이다. 청나..

고구려의 수도 국내성 집안

2024년 5월 20일부터 30일까지북간도 조선족연변자치주 연길시와 두만강 북중 접경지 도문(남양), 한인 개척지인 용정시, 민족의 영산 백두산과 우리 역사 고구려 도읍 국내성인 집안시(만포시) 그리고 비류수가 흐르는 통화, 고조선, 고구려, 발해의 고토이자 고려와 조선 유민의 땅 심양까지 1천 km 오늘날 중국의 중심 북경으로 7백 km 상해까지 1천2백 km까지 일명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현장을 다녀왔다. 장장 3천 km의 '독립 로드'였다. 추적추적 비가 내리는 밤에 통화에 들어왔다. 거리는 온통 버드나무 일색이다. 버드나무는 만주족의 민족 시원 신화와 관련이 깊다. 고구려의 시조 주몽의 어머니, 유화부인 역시 관계가 있다. 이 지역은 만주족의 분포도가 높은 곳이다.서간도 통화는 압록강 넘어 고구..

북간도를 밝힌 명동촌과 윤동주, 그리고 백두산

2024년 5월 20일부터 30일까지북간도 조선족연변자치주 연길시와 두만강 북중 접경지 도문(남양), 한인 개척지인 용정시, 민족의 영산 백두산과 우리 역사 고구려 도읍 국내성인 집안시(만포시) 그리고 비류수가 흐르는 통화, 고조선, 고구려, 발해의 고토이자 고려와 조선 유민의 땅 심양까지 1천 km 오늘날 중국의 중심 북경으로 7백 km 상해까지 1천2백 km까지 일명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현장을 다녀왔다. 장장 3천 km의 '독립 로드'였다.​구한말 한민족 첫 개척지 북간도 명동촌이다. 함경도에 심한 기근이 들자 점차 이주자가 늘어났고 그렇게 북간도에 조선인이 늘어나는 가운데 해란강이 흐르는 용정에 만들어진 마을이 명동촌이다. 지도자 김약연 목사와 일가 피붙이가 개척한 마을이고 고향을 떠나온 그들이..

간도 연길, 도문, 용정 간도주재일본총영사관, 3.13의사릉, 탈취15만원사건유지

2024년 5월 20일부터 30일까지북간도 조선족연변자치주 연길시와 두만강 북중 접경지 도문(남양), 한인 개척지인 용정시, 민족의 영산 백두산과 우리 역사 고구려 도읍 국내성인 집안시(만포시) 그리고 비류수가 흐르는 통화, 고조선, 고구려, 발해의 고토이자 고려와 조선 유민의 땅 심양까지 1천 km 오늘날 중국의 중심 북경으로 7백 km 상해까지 1천2백 km까지 일명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현장을 다녀왔다. 장장 3천 km의 '독립 로드'였다.​간도는 강 가운데 떠있는 하중도를 말하는 것으로 청의 봉금에 따라 비워졌던 압록강과 두만강 건너 땅을 우리 한민족이 정착하고 개척한 곳을 이르는 지명이다. 따라서 동쪽에 치우친 해삼위라 불린 연해주는 동간도, 압록강 너머는 서간도, 두만강 건너인 연길은 북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