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59

황구지천 십리길, 웃불에서 왕송호까지

황구지천 십리길, 웃불에서 왕송호까지 황구지천(黃口池川)은 의왕시 오봉산에서 발원하여 군포시와 의왕시 왕송호(저수지)를 거쳐 수원시에 들어와 크고 작은 하천들이 합수하는데 오망골천과 당수천을 만나고 이어 구운동과 천천동에 걸친 일월저수지에서 흘러내린 일월천과 금곡천, 호매실천을 만나고 정조대왕이 축조한 축만제 서호의 물줄기이고 수원시 4대 하천인 서호천, 그리고 수원 화성을 가로지르는 수원천, 원천리천을 만난다. 화성시에 들어와 반정천, 삼미천이 유입하고 정조대왕이 축조한 안녕동의 만년제 물줄기와 정남면 갈천이 만난다. 그리고 양감면 양문리와 평택시 서탄면 회화리에 이르러 진위천으로 합수하여 흐르다 안성천에 이어져 서해안 아산만(평택호)에 이른다. 황구지천의 이름은 수원군 율북면 황구지리(현재의 평택시 ..

선거연수원, 선거전시체험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 선거전시체험관 수원시 여기산 아래 서호를 바라보는 양지바른 곳에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이 위치하고 있다. 원래 서울 종로5가에 설치(1996)되었으나 2017년 11월 7일 이곳으로 이전하였다. 선거연수원이 자리잡은 이곳은 나주혁신도시로 이전된 옛 농촌진흥청 부지이다. 연수원 뒷산은 여기산으로 청동기시대 집자리와 유물이 나온 여기산 선사유적지이고 연수원 앞 너른 호수는 정조대왕이 수원 화성을 쌓고 자족적 신도시를 만들기 위해 축조한 축만제(서호)로 축만제둔 일명 '서둔'이라고 불린 너른 곡창지대의 젖줄이다. 지금은 서호 동편으로 중부작물부가 운영하는 농업시험장 일부가 남아 예전 서둔의 역사성을 드러내준다. 사실 대유평(북둔)이라고 불린 너른 곡창지대인 만석거에 비한다면..

수원 청년 독립을 외치다 서호 구국민단 결사

수원 청년 독립을 외치다 서호 구국민단 결사 수원지역 수원읍 3.1운동 기독교 청년이 이끌다 수원지역은 3.1만세운동이 강렬하게 전개된 대표적인 곳이다. 처음 만세운동은 1919년 3월 1일 방화수류정(용두각)에서 지식인, 청년학생을 중심으로 만세시위가 전개되었다. 특히 이 시위의 배후로 남수리 출생의 삼일학교 교사이자 민족대표 48인 중 기독교 측 대표로 참여한 김세환(金世煥, 1889.11.18. ~ 1945.9.26.)이 있었고 수원상업강습소 김노적, 박선태, 임순남, 최문순, 이득수(종상), 김석호, 김병갑, 이희경, 신용준, 이선경 등 기독교도와 학생들이 중심이었다. 이후로 수원읍 시위는 3.16 장날을 기해 서장대 연무대에서 수백 명이 만세를 부르며 시가지로 나가 종로를 지나 벌이고 이를 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