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이샘의 역사나들이(답사)

근현대 농업의 산실 수원(축만제[서호], 항미정) 3

달이선생 2019. 3. 9. 10:00

근현대 농업의 산실 수원

2019. 3. 3, 3. 9(2일 2차례 답사)

 

  전근대 수원은 화성시, 오산시까지 아우르는 큰 고을이었다. 수원(水原)이라는 한자 명을 보더라도 물이 풍부한 것을 알 수 있는데, 현재 수원시와 화성시 등에는 많은 저수지들이 즐비하다. 삼한시대 모수국(牟水國) '벌물'의 뜻으로 '수원'의 뜻인 '물벌'과 같다.  '모수'도 물을 뜻하고 고구려의 '매홀(買忽)'도 물을 뜻하는 것처럼 고려 때  '수성(水城)', '수주(水州)'에서 현재의 수원으로 변천한 명실공히 물의 도시가 수원이다.

  이런 수원이 근현대 농업에서 중요한 변화를 맞는다. 조선후기 정조가 화성행행을 하며, 화산에 아버지 장헌세자묘(현륭원, 현재 융릉)를 천봉하고, 이어 화성행궁과 화성성곽을 연이어 축조하였다. 또한 신도시 수원이 명실공히 대도회지로 자족적인 도시가 되도록 당시 농업의 근간이 되는 저수지를 축조(만석거, 만년제)하여 농업을 장려하였다.

  특히 화성 서쪽에 서호인 '축만제(祝萬堤)'를 축조(1799))하고 너른 농경지인 서둔을 경영하였다. 그래서 현재도 이곳은 서둔동이다. 서쪽의 둔전이란 뜻의 서둔은 병농일치의 전근대 사회에서 국가가 영농을 장려하는 한편, 직영으로 운영한 국가의 농장이다. 축만제임을 보여주는  표석이 서호 동쪽에 위치하고  화성팔경 중 서호낙조로 유명한 항미정이 복원되어 위치한다.

 

시기 미상의 축만제(서호), 항미정(수원박물관 소장)의 옛 사진. 갓과 도포를 입은 복색으로 보아 시기는 일제강점기 이상이다. 출처 : 수원시사 17권(수원화성), 2014, 143쪽

 

  이러한 역사성에 따라 서둔이 위치한 이곳을 일제가 주목한다. 통감부는 1906년 권업모범장을 수원에 세운다. 이후 권업모범장은 농업시험장(1929)으로 바뀐다. 일제가 수원을 주목한 사실을 다음을 통해 알 수 있다.   

 

1910년 조선에 이주하여 수원에 정착한 일본 니가타현 태생의 사카이 마사노스케(酒井政之助)는  

“수원은 땅과 기후가 순화한데다 지질까지 매우 좋고, 조선 특유의 큰 강의 범람과 재해도 없으며, 발길 닿는 데마다 작은 하천이 있어서 관개가 편하고, 오곡이 풍성한 반도 중앙부의 대보고(大寶庫)라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이 같은 하늘이 내려준 이로움을 가진 농민은 권업모범장 설치로 인해 얻은 새로운 지식을 응용하게 되면서 농사가 놀랄 만큼 발달한 것은 모름지기 전도(全道)에서 으뜸이라 해도 좋을 것이다. 척식박람회, 기타의 유수한 공진회 품평회 등에서 수상자의 과반수를 수원이 차지하고 있는 것이 그 증거이다.”-『수원시사』5, 「수원의 토지 소유구조와 농업경영」, 300쪽.

 

 이처럼 수원의 자연조건은 농업경영에 아주 유리한 곳이었다.

 서호는 지역주민들이 즐겨찾는 곳으로 산책하거나 트래킹, 자전거 등 많은 사람들이 저마다 즐기는 곳이다. 많은 사람들이 찾지만 축만제 표석에 관심을 보이는 것은 나뿐이다. 표석을 보노라니 수시로 열차가 지난다. 서호 옆이 경부선 철도이고 철도 지나 화성이 걸쳐 있는 팔달산이다. 걷는 것을 좋아해서 이것저것을 찾아 보고 나니 다리가 아프다. 잠시 쉬고자 항미정 마루에 걸터 앉았다. 나뿐 아닌 길손들이 앉은 자리는 표가 난다. 나무에 윤이나고 맨질맨질하다. 목조 건물은 사람의 온기로 산다고 한다. 들어가지 마시오라는 푯말이 있지만 푯말 뒤켠은 사람들이 닿은 흔적이 없어서 마루 바닥에 먼지가 쌓이고 말라 생기가 없다. 반면에 사람들이 쉬이 걸터 않은 자리는 윤이 난다. 

  문화재를 아끼는 것은 사람들의 손이 닿지 않게 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정성스레 가꾸고 관리해서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이 되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 박제화된 곳에 어떤 애정이 깃들 수 있을까?  

 

  

  

답사경로(이 글의 장소 굵은 글씨)

옛 농촌진흥청(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정문 - 권업모범장 표석 - 본관 - 김영삼 대통령 기념식수 - 녹 색혁명성취기념탑 - 여기산 우장춘 박사묘, 김인환 박사묘(중턱), 정남규 박사묘(정상부) - 서호 -축만교 - 축만제 표석 - 항미정 - 서호 남쪽 서호천길(삼남길) - 앙카라공원 - 서울 농대   

 

 

 

 

 

 

 

 

 

 

 

 

 

 

 

 

 

 

 

 

 

 

 

 

 

 

 

 

 

 

 

 

 

 

 

 

 

 

 

 

 

 

 

 

사람들이 앉은 자리가 윤이 난다.

 

 

항미정 마루에 걸터 앉아 축만제 표석을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