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이샘의 역사나들이(답사)

안동 퇴계 유적 답사(퇴계 종택)

달이선생 2018. 11. 5. 16:00

 안동 퇴계(退溪) 유적 답사

 

  낙동가 지류인 토계천 상류는 상계라고 하여 퇴계 선생이 낙향하여 후학을 양성하였던 계상서당이 있었다. 그 곁에 현재 퇴계 선생 종택이 있다. 종택의 사랑채와 같이 손님을 맞이하고 회합을 하는 곳인

추월한수정(秋月寒水亭, 주자의 추월조한수[秋月照寒水]의 말로 천년을 내려온 마음이 가을 달빛에 비치는 한수와 같다는 의미, 옛 성인들의 마음을 이른다)의 안에는

'도학연원방(道學淵源坊, 도학이 연원한 집)',   

'산남궐리(山南闕里, 궐리는 공자의 고향으로 이곳 산남이 궐리이다.)',

'해동고정(海東考亭, 주자가 강학을 하던 고정과 같다하여 이곳이 해동의 고정이라) ',

'이운재(理韻齋, 공자의 도학을 받아들여 퇴계가 완성한 이 여운을 기리는 집)',

'완패당(玩佩堂, 마음에 간직한 패물이라는 뜻으로 퇴계가 연구 발전시킨 道學을 누가 발전시킬 것인가라는 것)'등의 현판이 빼곡하다. 종택이 퇴계를 통해 조선성리학의 뿌리라는 자부심이 느껴진다.

  현재도 종택에는 종손이 살고 있다. 종택에는 16대 종손 이근필 옹이 지키고 있다. 제물포고등학교에서 교편을 잡았고 서예에도 남다른 실력이 있어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청계학당' 현판을 쓸 정도로 명망이 있다. 이러한 종택이 안동유림, 안동종가의 기준이 되고 있다고 한다. 최근 제사에 대한 존폐문제가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인데, 퇴계 종택은 일찍부터 자정에서 새벽무렵 이루어지던 기제사 관습을 버리고 초저녁 제사를 지낸다고 한다. 아울러 퇴계의 유언에 따라 유밀과(밀가루를 반죽하여 참기름에 튀겨 꿀 따위를 바른 전통 과자)를 올리지 않고 소박하게 제사를 지내는데 이러한 전통이 주변 안동종가에도 모범이 되어 따르고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