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2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2024년 2월 12일 비화가야의 땅 창녕을 찾았다. 비화가야는 고대 국가로 발돋움 못하고 신라에 편입되어 그 명맥을 유지하였다. 그 흔적은 영산 동리, 계성 고분군의 이른 시기에 조성된 고분들이 즐비하고 창녕읍내를 거점으로 중심 시기인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이 이를 잘 보여준다. 특히 비화가야가 신라 진흥왕에 편입되고(신라진흥왕척경비:순수비) 이후 지배층의 무덤이 계속적으로 이곳 구릉에 조성되는데 그 부장품 중 신라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이 확인 되므로 진흥왕 척경비에서 보이는 비화가야의 신라로의 편입과 그 지배층의 존속 등이 확인 되는 등 역사적으로 중요한 발견이었다. 비화가야의 본거지 답게 화왕산 자락 가지능선으로 무수히 펼쳐진 비화가야의 고분들은 창녕이 가야연맹의 중요한 축이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

창녕 사직단, 석빙고, 인양사조성비, 술정리 동 삼층석탑, 척화비

2024년 2월 12일 창녕 읍내를 답사하였다. 종묘사직은 한 국가의 열성조 즉 역대 국왕 등의 신위를 모신 왕조 사당인 종묘와 농본국가의 중요한 가치와 의미인 토지와 곡물신을 제사하는 사직단을 말한다. 따라서 조선의 한양 서울 사직동의 사직단이 경복궁 서쪽 인왕산 아래 조성되어 국가 정체를 이룬다. 조선의 지방수령은 왕을 대리하는 자리이므로 지방관아의 동쪽에도 지방 사직단이 조성되어 제사를 주관하였다. 그래서 전국에 200군현에 그 많던 사직단이 있었는데 일제에 의해 읍성과 마찬가지로 다 철거되어 보기 어려운데 창녕에는 예전 그대로의 모습을 발굴하여 복원하였다. 이밖에 경주 석빙고와 유사한 석빙고(석빙고 앞 비문: 석빙고비 현감신후서등내영건)와, 역대 창녕 현감비군(공덕, 송덕비), 창녕객사 일부,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