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자호란 6

심양 고궁

통화에서 이어지는 서간도 일대는 만주족이 많이 사는 곳이다. 곳곳에 그들이 신성시하는 버드나무가 가로수로 펼쳐져 있고 그들 농가 한켠에는 고구려의 2층 창고인 부경에 옥수수가 그득하다. 버드나무는 고구려 시조 주몽의 어머니 하백의 딸 유화부인의 상징이다. 청나라 이후 정립된 그들의 태초 신화는 결국 우리의 과거와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그들의 삶은 고구려의 생활문화인 부경이 남아 동화든 어쨌든 반농반목의 여진족의 지금의 만주족의 고유 생활문화로 남아있다.심양은 고조선과 고구려, 발해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땅이었다. 원나라 시절에는 원으로 끌려온 고려 유민들이 집단을 이루어 원나라에서 고려왕을 심양왕에 봉하였고 입성책동을 야기했던 부원배의 상징이다. 최영과 이성계 장군이 요동정벌을 단행했고 조선 후기 163..

광명 영회원

명문에서 덕을 길러 / 名門鍾德우리 왕실에 출가했는데 / 俔我京室형황이 점차 멀어지니 / 珩璜漸遠창상의 변고를 어찌 차마 말하리오 / 滄桑忍說아득한 천원이여 / 瀰瀰泉源실로 그 무덤에 가까운데 / 實邇其兆주위의 송백이 / 侯松侯柏일찍이 자라지 않았네 / 曾不盈眺내가 이에 도모하여 / 我維圖之봉분을 북돋우고 나무를 심었으며 / 以封以植내가 무덤에 와서 절하고 / 來拜玄扃예주(醴酒)를 가득 따르네 / 崇醴于酌홍재전서 제24권 / 제문(祭文) 6민회빈(愍懷嬪)의 묘소에 친히 제사드린 글1797년 8월 16일 정조는 행행에서 광명 노온사동에 있는 민회빈(愍懷嬪) 묘에 들러 친히 헌작례를 행하고 읊은 제문이다. 억울하게 죽은 그녀가 숙종에서 신원되고 최초로 그 자손인 임금에게 예를 받았다. 물론 정조는 적자는 아..

남한산성 행궁

한산주(漢山州)에주장성(晝長城)을 쌓았는데 둘레가 4,360보였다.삼국사기 권 제7신라본기 제7 문무왕(文武王) 한산주에 주장성을 쌓다(672년 8월)주장성(晝長城)은 지금의 남한산성(南漢山城)을 가리킨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권제6 경기도 광주목(廣州牧) 고적조(古跡條)에 다음과 같이 주장성이 남한산성임을 밝히고 있다.일장산성(日長山城). 광주(廣州)에 있는 신라 때의 주장산성(주장성[晝長城]). 문무왕(文武王) 때 축조한 것으로 안에 여섯 곳의 우물터와 흐르는 시내가 있고 둘레가 팔만 육천 팔백 척이고 높이가 이십사 척인 석축으로 된 산성이다.(長山城 卽新羅時晝長山城 文武王所築 內有六井及溪 周八万六千八百尺 高二十四尺 石築)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권제6 경기도 광주목(..

김준용 장군 묘 및 신도비

김준용 장군 묘 및 신도비 1636년 병자호란은 우리 역사에서 암울했던 역사이자, 치욕이었다. 군왕 인조가 삼전도에 나아가 청태종 황태극의 발 아래 항복례인 삼배구고두를 행했던 일로 인해 당시의 모든 일은 쉬쉬할 뿐, 말하기 꺼려했다. 더욱이 우리의 승전도 마찬가지였다. 김준용 장군은 병자호란 당시 몇 안되는 승장 중에 한 명이었지만 패전의 오명으로 파직과 유배를 당했던 인물이다. 다행히 억울한 누명은 곧 풀렸으나 그의 전공에 대한 포상은 기대하기 어려웠다. 주장이 이러하였는데, 종군해서 용맹을 자랑했던 휘하 장졸들도 마찬가지다. 특히, 전라병마절도사 김준용 휘하에서 광교산 전투에 참가하여 만주 정황기의 주장이자 청태조 누루하치의 부마 양고리(백양고라, 슈무루 양구리(만주어: ᡧᡠᠮᡠᡵᡠ ᠶᠠᠩᡤᡠᡵᡳ ..

삼전도비

삼전도비(三田渡碑)  장유(張維)·이경전(李慶全)·조희일(趙希逸)·이경석(李景奭)에게 명하여 삼전도비(三田渡碑)의 글을 짓게 하였는데, 장유 등이 다 상소하여 사양하였으나, 상이 따르지 않았다. 세 신하가 마지못하여 다 지어 바쳤는데 조희일은 고의로 글을 거칠게 만들어 채용되지 않기를 바랐고 이경전은 병 때문에 짓지 못하였으므로, 마침내 이경석의 글을 썼다.(己丑/命張維、李慶全、趙希逸、李景奭, 撰三田渡碑文。 維等皆上疏辭之, 上不從。 三臣不得已皆製進, 而希逸故澁其辭, 冀不中用, 李慶全病不製, 卒用景奭之文)-인조실록 35권, 인조 15년(1637) 11월 25일 기축 1번째기사   이 기록은 삼전도비를 세우기 위해 삼전도비문 혹은 송로 문자(頌虜文字)로 불리는 것을 지은 기사이다. 삼전도비의 정식 명칭은 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