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0 2

관동별곡 상원사 월정사 정선 동해

임금이 상원사(上元寺)에 거둥할 때에 관음 보살이 현상(現相)하는 이상한 일이 있었기 때문에 백관들이 전(箋)을 올려 진하(陳賀)하고, 교서(敎書)를 내려 모반(謀叛)·대역(大逆)·모반(謀反), 자손이 조부모와 부모를 모살(謀殺)하거나 구매(毆罵)한것, 처첩(妻妾)이 남편을 모살한 것, 노비가 주인을 모살한 것, 고의로 사람을 모살한 것, 다만 군령(軍令)과 강도(强盜)를 범한 외에는 죄를 용서하도록 하였다.(乙未/以上幸上元寺, 時有觀音現相之異, 百官進箋陳賀, 下敎赦謀反大逆、謀反、子孫謀殺歐罵祖父母ㆍ父母、妻妾謀殺夫、奴婢謀殺主、謀故殺人、但犯軍令ㆍ盜强外罪。)세조실록29권, 세조 8년 11월 5일 을미 1번째기사 1462년상원사에 거둥할 때 관음 보살이 현상(現相)하자 살인·강도 이외의 죄를 사면하다상원사(上院..

공주 제민천 마을여행

충청도(忠淸道)라 일컫기를 청하며, 경기에 입속(入屬)된 아산(牙山)·평택(平澤)·직산(稷山)·진천(鎭川) 등 고을은 아울러 본도(本道)에 다시 예속시키고, 신설한 신은도(新恩道)를 혁파하소서."하니, ‘그리하라.’ 전교하였다.(忠公道請復稱忠淸道, 京畿入屬牙山、平澤、稷山、鎭川等官, 竝還隷本道, 革罷新設新恩道。" 傳曰: "可。)중종실록1권, 중종 1년(1506) 9월 5일 신사 충청도가 충주와 청주 두 고을을 합처 부른 지명이듯 충공도는 충주와 공주를 합쳐 부른 것이다. 지금은 충청도라는 지명이 익숙하지만 한때 공주를 포함한 충공도가 대명사이기도 하였다. 이곳 공주는 공주목으로 충청지역 4대 고을(충주, 청주, 홍주)에 속하는 큰 고을이었다.특히 충공도가 처음 이름된 것은 1505년(연산군 11) 연산군..